본문 바로가기

예술

(12)
예술과 예술적 예술과 예술적的인 것은 다르다. #예술적인 것디자인은 예술적이다.머신러닝을 통한 이미지 또한 예술적이다.원숭이가 그린 그림 또한 예술적이다.조수가 대작하여 그린 것 또한 예술적이다. 的은 '그 성격을 띠는'이라는 뜻의 접미사이다. 현재 나는 예술적인 것이 예술이 되려면, - 인간의 영혼이 작용한 것 이라는 조건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더 나아가 예술적이지 않더라도 예술이 될 수 있다.그러한 의미에서 뒤샹의 샘이 예술이다. 이것도 예술인가?는 예술가에 의해서 확장되고예술적인 것 또한 확장되지만,예술적인 것이 확장되어도 예술이 확장되지는 않는다.
머신러닝과 사진의 차이점 # 사진과 머신러닝의 재현과 해석사진은 세계를 재현(Representation)한다. 머신 러닝(GAN)은 세계를 재현(Representation)하지 않는다.어떻게 보면 세계를 나름의 방식으로 해석(Interpretation)한다.나름의 방식으로 존재하지 않던 정보를 주입한다는 것은, 해석을 의미한다. # 정보의 관점에서 해석의 의미, 창조와 해석의 연관성해석과 창조성은 연관되어 있다.해석(Interpretation)은 정보(Information)의 유의미한 창출을 의미한다.여기에서 유의미하다는 말은 인간의 관점에서 유의미함을 의미한다. 인간의 관점에서 Error, Noise가 아니라 Signal로 인식됨을 의미한다.이는 관점이 조금 다르지만 창조성과도 연관된다. # 이와 관련된 기술 예시Domain ..
많은 사진은 현실을 담지 않는다. #기록되는 현실많은 경우에 사진과 동영상은 현실을 담지 않는다.'실제 현실'과 '기록되는 현실'이 다르기 때문이다.사람들은 실제 현실과 달리, 기록될 때 독특한 행동을 한다.포즈를 취하거나 웃는 행동은 일반적이고 그외에 독특한 포즈와 각도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술의 역할이러한 면에 있어서 오히려 '기록되기 원하지 않는 현실'을 예술이 담는다면,그것이 사진과 동영상이 하기 어려운 영역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예술이 오히려 더 현실적일 수 있는 것이다. #기타SNS가 현실을 담지 않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푸코의 '감시'의 개념이 이용될 수도 있다.하이퍼리얼리즘의 탄생 배경에 이러한 이유가 있었는가?
다음의 예술 현재, 다음의 예술은 어떠한 모습일까. #사진 시대의 예술사진의 발전에 따라 예술의 흐름의 변화를 비추어 보면,1. 사진기 보다 더 잘 그리거나( above tech) - hyper-realism2. 사진기를 잘 이용하거나(with tech) - photographer3. 사진기가 못하는 영역으로 가거나(outside tech/ beyond tech) - sur-realism, … (대부분) 정리하면예술가의 돌파구는1. 기술을 뛰어넘거나2. 기술을 잘 이용하거나3. 기술이 못하는걸 이용하거나 그러나 사람들이 별로 호응을 갖지 않는 예술은4. 기술이 하는 만큼 잘 따라하는 이러한 방향으로 예술이 흘러간다. 이렇게 되면, 기술의 가능성과(1,2), 한계(3)를 잘 알아야 예술도 잘 하게 된다.너무나도 기술 ..